포투비를 얍핑하면서 대부분 뱃지에 대한 정보나 리더보드가 리셋되었다는 등의 이야기를 많이 쓰기는 하는데, 오늘은 기술적인 부분을 조금더 자세히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. Atomic 스왑 방식이라 내가 내 비트코인에 대한 소유권을 유지하고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인데, 기술적으로 어떻게 되었는지 한번 쉽게 보겠습니다. @PortaltoBitcoin 은 우선 두가지 핵심 인프라가 있습니다. 하나가 portal OS이고 하나는 BitScaler입니다. 이중에서 BitScaler는 쉽게 이야기해서 비트코인을 결제할 수있는 Layer 3로 비트코인이 너무 느리니 더욱더 빠르게 결제할 수 있는 레이어를 만드는 것입니다. 기술 자체는 라이트닝 네트워크와 비슷한 방식을 사용하나, 라이트닝의 단점이 일명 채널이라는 것을 열어야 하는데, 이걸 하나 하나씩 열어야 하고, 기 비용과 과정도 복잡하다는 것입니다. Bitscaler의 기술은 이런 채널들을 한꺼번에 수천개를 열게 해주는 것으로 확장성을 가져오면서도 내 지갑의 키는 내가 관리하는 self custody 방식을 유지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입니다. PortalOS는 이름에 OS가 있는 것처럼 운영체계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, 여러 L1, L2 블록체인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노드 운영 프로그램입니다. 이것을 바탕으로 여러 체인을 연결할 수 있는 AMM을 만들어서 멀티 체인 유동성을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. (Mc-LAMM - 아마도 약자가 멀치 체인 유동성 자동화 마켓메이커 일듯 ㅎ) 즉, - Bitscaler로 비트코인 결제 채널을 빠르고 대량으로 열게 해서 (속도와 접근성 해결) - PortalOS 로 여러 블록체인을 연결해 유동성을 통합해서 하나의 DeFi 생태계 처럼 움직이게 해주는 것임. 참, 쉽죠? ㅋㅋㅋㅋㅋ 정말 쉽게는 비트코인을 멀티체인에서 DeFi의 중심 통화로 만들어주는 인프라 프로젝트입니다.
2,43K